Linux User 와 group 관리에 대해서 알아보자.
사용자 구성요소, 사용자 관리도구 (생성부터 수정, 삭제)까지 알아보도록 하자.
User & Group Management
- 리눅스나 유닉스는 다중 사용자 환경의 운영체제로 설계되었다. 그만큼 사용자가 많다면 이러한 사용자들의 대해 관리 가 필요하다.
- 시스템에서 관리자가 사용자를 만들때마다, 어떤 사용자가 어떤 권한을 갖고 어디까지 접근 할수 있는지 결정을 해야한다.
- 이번 포스팅에서는 이러한 사용자 관리에 대해서 공부해보자.
1. 사용자 구성요소
- 리눅스에서 파일, 프로그램은 모두 소유자가 있다. 각 사용자는 고유 식별번호 USER ID (이하 UID) 를 갖고 있으 며, 반드시 특정 그룹(이하 GID) 에 속해 있어야 한다.
- 파일과 프로그램의 접근 권한은 앞서 말한
UID, GID
에 따라 달라진다.
리눅스가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는 방식은 바로 텍스트 형태이다. 때문에 편집기를 이용하여 사용자 정보를 관리할수 있다.
/etc/passwd
/etc/passwd
파일을 보면 아래의 형태로 사용자의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.
1
2
3
4
5
6
derek:x:1000:1000:derek,,,:/home/derek:/bin/bash
# 보기쉽게 정리해보자
# derek : x : 1000 : 1000 : derek,,, : /home/derek/ : /bin/bash :
# 사용자 계정명 : 패스워드 : UID : GID : GECOS : 디렉토리 : shell :
- 사용자 계정명
- 말 그대로 생성한 사용자 계정명을 의미한다 .
- 패스워드
- 로그인 시에 입력하는 패스워드를 의미하지만 암호화 되어있어서 x 로 표기 된다.
- UID (User ID)
- 앞서 말했던 사용자 고유의 식별번호 이며, 실제 시스템에서 접근권한을 체크할때 이용하는 값이다.
- GID (Group ID)
- 사용자가 소속되어있는 Group의 고유 값이다. 사용자 접근권한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.
- Group ID 관련 된 부분은
/etc/group
에 정리하도록 하자.
- 디렉토리
- 사용자의 홈 디렉토리를 나타낸다. 계정별로 고유의 설정파일 (ex bashrc, vimrc 등) 을 저장할 공간이 필요하다. 하지만 다른 디렉토리여도 상관없다.
- shell
- xwindow 환경이 아닌곳에서 리눅스에 접속하면 처음 보이는것이 shell 이다.
- shell에도 bash, zsh 등이 있지만, 나는 그냥 bash를 선호한다.
- 리눅스에서 사용할 수 있는 shell 정보를 보고싶다면
/etc/shells
에 사용할 수 있는 shell 정보가 있으니 자유롭게 변경하면 된다.
/etc/group
/etc/group
을 보면 한줄에 한 그룹씩 표시된다.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그룹에 속하며 , 사용자가 한 개의 그룹에 속해 있다면 그 그룹은 해당 사용자의 기본 그룹이다.- 기본 그룹을 변경하려면
/etc/passwd
에 GID 를 수정하면 된다. /etc/group
에 있는 항목은 다음과 같다.
Group name | 그룹 이름 |
Group password | 그룹에 가입시킬 때 설정하여 사용 할 수 있다. (선택사항) |
Group ID (GID) | 그룹 이름에 대응하는 그룹 번호 |
Group members | 그룹원 목록 (콤마로 구분됨) |
- 나의 계정 그룹정보
1
2
# group 의 멤버가 없다.. 혼자쓰니까 ㅎㅎ
derek:x:1000:
2. 사용자 관리 도구
- 기본적으로 리눅스에서는 사용자를 관리하기위한 CLI (command line interface) 를 제공한다.
1. useradd
- 이름이 의미하는데로 계정을 추가하는 명령어이다.
- 아래는
man useradd
이다.
1
2
3
4
5
6
7
8
9
10
11
USERADD(8) System Management Commands USERADD(8)
NAME
useradd - create a new user or update default new user information
SYNOPSIS
useradd [options] LOGIN
useradd -D
useradd -D [options]
...
- 즉
useradd test
라고 입력하면 바로 test 계정이 생성이된다. - 하지만 저렇게만 하게되면
- 보통 유저를 생성할때 많이 사용하는 옵션은
-m (home directory 생성), -s SHELL (shell 지정)
이 있다. 이것은 계정을 만들면서/home
경로밑에 계정 고유 폴더를 생성하는 옵션이다 - 계정을 만들고나면 다음 명령어로 계정의 비밀번호를 설정해야한다
passwd [계정명]
나도 blog 를 작성하면서 이것저것 테스트 용도로 계정을 하나 만들었다.
useradd -m -s /bin/bash dev
2. usermod
-
혹시라도
useradd
를 하는과정에서 option 을 빼먹거나 잘못만들었을경우 수정하는 명령어이다. -
나의 경우
dev
계정을 생성하면서 option 에 GECOS 값을 넣지않아서usermod
명령어를 실행해볼겸 변경 해보았다.
1
2
3
4
5
6
7
root@~ $ cat /etc/passwd | grep dev
dev:x:1001:1001::/home/dev:/bin/bash
root@~ $ usermod -c study-account dev
root@~ $ cat /etc/passwd | grep dev
dev:x:1001:1001:study-account:/home/dev:/bin/bash
3. userdel
- 지우고 싶은 계정이 있을경우
userdel
명령어를 통해서 지울수 있다. - 입력방법은
userdel [option] 계정명
인데 , 2개의 옵션만 기억하면 된다.
- -f, –force (현재 사용자의 소유가 아닌 파일이라도 삭제가능)
- -r, –remove (홈 디렉토리 와 mail spool 까지 삭제)
4. groupadd, groupmod, groupdel
- 사실 많은 사용자가 이용하는 개발서버가 아닌경우 이 명령어는 자주 사용하지 않을것이라고 생각된다. 그래도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자.
- group 관련 명령어는 개별 사용자에 대한 것이 아닌 /etc/group 파일에 있는 그룹들을 대상으로 하는 명령어이다.
- groupadd
- group 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 방법은
groupadd [option] GROUP이름
이다. - option 에 -g gid 는 GID를 설정하는 옵션인데 **-o (GID 중복허용) 옵션이 사용되지 않았다면, 이 값은 반드시 고유해야하며 기본적으로 1000이상의 값을 설정해야한다.
- group 을 추가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 방법은
- groupdel
- group 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방법은
groupdel GROUP이름
이다.
- group 을 삭제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방법은
- groupmod
- group 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방법은
groupmod [option] GROUP이름
이다. - 주요 옵션은 다음과 같다.
-g GID (GID 변경) , -n NEW_GROUP (그룹이름변경), -o (GID중복허용)
- group 정보를 변경할 때 사용하는 명령어로 입력방법은
3. 정리
- 이번 포스팅에서는 사용자 및 그룹 관리하는 법을 알아보았다. 이 포스팅에 있는 내용들은 유닉스 계열의 시스템에서도 적용되는 것들이다.
- 이번 포스팅을 작성하면서
dev
라는 계정을 새로 만들었다. 앞으로 포스팅을 위한 작업 및 테스팅을dev
계정에서 진행하면서 권한에 대한 부분도 공부해볼 생각이다. - 추후 계정이나 그룹에 대해 새로 알게되거나,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이번 포스팅에 추가 업데이트 하도록 해야겠다.
Comments